
아프리카·중동, 북미를 제치고 최대 수익 시장으로 부상
슈퍼그룹이 최근 발표한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이 북미를 제치고 최대 수익 지역으로 떠올랐다는 사실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25% 증가한 5억 1,7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EBITDA는 46.6% 증가한 1억 700만 달러, 순이익은 105.4% 늘어난 7,60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중동은 오히려 전년 대비 매출이 감소했지만, 아프리카가 지역 성장의 중심 역할을 했습니다. 이 지역은 1분기 전체 매출의 39%를 차지하며 전년의 37%에서 상승했으며, 반면 북미는 37%에서 35%로 감소했습니다.
“우리는 미국의 드래프트킹스처럼 아프리카 시장을 선도한다”
닐 메나쉬 CEO는 아프리카 시장에서 슈퍼그룹이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팬듀얼이나 드래프트킹스가 미국 스포츠 베팅 시장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유사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모든 시장에 경쟁자가 새롭게 진입하긴 하지만, 우리가 상위권에 있는 시장에서는 고객 기반과 브랜드 공감도 측면에서 확실한 강점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경쟁 대응 전략으로 ‘비용 절감이 아닌 효율성’을 강조했습니다. “CRM, 리스크 관리, 결제 수수료 등 모든 비용 요소에서 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합니다. 특히 마케팅 퍼널의 효율화가 중요하며, 각 시장에서의 전환율을 높이기 위한 신제품과 확장 전략이 관건”이라고 밝혔습니다.
“아프리카는 초고수익 시장… 더 많은 국가로 확장할 것”
메나쉬 CEO는 “아프리카는 수익률이 매우 높은 지역”이라며, “매출이 30~40% 늘어나면 거의 순이익이 두 배로 증가하는 구조”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아프리카 내 신규 진출 국가 확대에 속도를 낼 계획입니다.
현재 아프리카 모든 시장에서 수익을 내고 있으며, 최근에는 보츠와나에서 2월에 서비스를 개시했고, 앞으로는 에티오피아, 코트디부아르, 앙골라로의 진출도 준비 중입니다. 다만, 세금 체계 및 자금 송금 구조의 안정성이 우선 고려 대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재무 책임자 알린다 반 웩(Alinda Van Wyk)은 “아프리카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20개국 중 13개국이 몰려 있는 대륙이며, 인구 증가와 결합해 엄청난 확장 잠재력을 제공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아프리카 기술 환경, 신기능 출시에도 유리
메나쉬는 아프리카 내 각국의 규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기술 인프라 덕분에 제품 기능 확장이 쉽다고 밝혔습니다. 예를 들어, 남아프리카나 가나에서 개발된 기능을 탄자니아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아프리카 전역에서 약 150개 이상의 결제 통합 시스템을 운영 중이며, 이는 향후 확장을 위한 기반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